본문 바로가기
소방안전

소화이론

by I니나앨런I 2023. 12. 11.
반응형

 

 

 

소화의 원리

소화란 연소의 반대개념으로 진행되고 있는 연소의 3요소인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연쇄반응 인자의 전달을 차단하면 소화되는 원리이다.

 

소화방법

연소방응에 관계된 가연물이나 그 주위의 가연물을 제거함으로써 연소반응을 중지시켜 소화하는 방버

1. 가스밸브의 폐쇄

2. 가연물 직접 제거 및 파괴

3. 촛불을 입으로 강하게 불어 가연성 증기를 순간적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

4. 산불화재 시 진행 방향의 나무 등의 가연물 제거

 

질식소화

산소(공급원)를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화재에서 산소(공급원)는 산소를 21% 함유하고 있는데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15%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화재를 소화하는 방법

1. 불연성 기체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2. 불연성 포(Foam)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3. 불연성 고체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냉각소화

연소하고 있는 가연물로부터 열을 뺏어 연소물을 착화온도 이하로 내리는 것, 즉 냉각함으로써 소화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소화방법이다.

1. 주수에 의한 냉각작용

2.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의한 냉각작용

 

억제(부촉매) 소화

연소의 4요소 중 연속적인 산화반응, 즉 연쇄반응을 약화시켜 연소가 계속되는것을 불가능하게 하여 소화하는 것으로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방법이다.

1. 할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에 의한 억제(부촉매) 작용

2. 분말 소화약제에 의한 억제(부촉매) 작용

 

소화약제의 종류

물소화약제 : 냉각, 질식효과

포소화약제 : 질식, 냉각효과

분말소화약제 : 질식, 억제(부촉매)

이산화탄소(CO2)  소화약제 : 질식, 냉각효과

할론 소화약제 : 질식, 억제(부촉매), 냉각효과

반응형

'소방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관리 업무대행 감독  (1) 2023.12.12
공사장 안전관리계획 및 감독  (0) 2023.12.11
화재이론  (1) 2023.12.08
연소이론_1탄  (3) 2023.12.07
안전관리자로서의 직업윤리  (0)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