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소이론2

화재이론 화재의 정의 화재란 사람이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바라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할 필요가 있는 현상 또는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하거나 확대된 화학적 폭발현상을 말한다. 1. 인간의 의도에 반하거나 방화에 의하여 발생하여야 한다. 2.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인명 및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이어야 한다. 3. 소화설비 또는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야 한다. 화재의 분류 일반화재(A급 화재) 1. 생활 주변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면화류, 고무, 석탄, 목재, 종이, 천 등 일반 가연물의 화재로서 물로 소화가 가능하고 다른 화재보다 발생건수가 월등히 많으며 연소 후 재를 남긴다. 2. 화재를 소화할 때 냉각효과가.. 2023. 12. 8.
연소이론_2탄 연쇄반응 가연성 물질과 산소 분자가 점화에너지를 받으면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 나누어지면서 활성화된다. 이렇게 물질이 활성화된 상태를 라디칼이라고 하는데 극도로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서 주변의 분자와 반응하여 공격하려는 성향, 즉 반응성이 매우 강하다. 한 개의 라디칼이 주변의 분자를 공격하면 주 개의 라디칼이 만들어지는 분기반응을 하면서 라디칼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연쇄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라디칼이 화염이 발생하는 연소를 주도한다. 화염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연소에서는 연소의 4요소가 적용되지만 무염연소(표면연소)에서는 연쇄반응이 빠진 3요소만 적용된다. 따라서 무염연소에서는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라디칼을 흡착하여 없애는 억제소화는 효과가 없다. 연소의 범위 한계산.. 2023. 12. 8.